자가증폭 RNA 기반 플랫폼 개발…LNP 등 핵심 기술 순수 국산화

아이진은 한국비엠아이, 알엔에이진, 마이크로유니, 메디치카지노 해외와 함께 구성한 컨소시엄이 질병관리청이 주관하는 '2025년도 팬데믹 대비 mRNA 백신 개발 지원사업'에 선정됐다고 18일 밝혔다.
해당 사업은 국내 독자적인 mRNA 백신 플랫폼 확보를 목표로 하는 국책 과제로, 총 4개 기업 또는 컨소시엄이 선정됐다. 1차년도 과제는 약 11개월간 진행되며, 비임상 결과 확보와 임상 1상 진입을 목표로 한다.
아이진 컨소시엄은 이미 지난해 10월부터 공동개발 협약을 체결하고 플랫폼 기술 공동 연구를 추진해왔다. 이번 사업에서 아이진은 mRNA 백신 임상 2상까지의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CMC(화학, 제조, 품질), 독성 및 효능 연구를 맡는다.
주관기관인 한국비엠아이는 임상시험계획(IND) 신청 및 생산을 총괄한다. 한국비엠아이는 오송과 제주에 mRNA 백신 제조를 위한 GMP 설비를 보유하고 있으며, 앞서 아이진의 임상용 의약품을 생산한 경험도 있다.
알엔에이진은 수지상세포 자극을 통한 T세포 반응 강화를 목표로 항원 설계 연구를 수행한다. 마이크로유니는 캡(cap) 구조가 필요 없는 '자가증폭 RNA(Capless self-amplifying RNA)'기술을 활용한 항원 플랫폼 연구를 맡는다. 메디치카지노 해외는 자체 개발한 지질나노입자(LNP) 기술을 기반으로 전달체 연구를 진행한다.
아이진은 "자가증폭 RNA 기술은 백신 생산 단가의 주요 요소인 캡 구조가 불필요하며, 자가증폭 기전으로 투여량을 줄일 수 있는 경쟁력 있는 플랫폼"이라며 "LNP 역시 기존 특허를 회피한 국산 기술로, 투여 부위 국소 작용으로 인한 안전성 확보와 냉장 보관이 가능한 이점을 갖춘 전달체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사업을 통해 순수 국산 기술 기반의 차세대 자가증폭 mRNA 플랫폼을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감염병 대응 백신 개발에 나설 계획"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