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세포 선택성·정상세포 독성 최소화…연내 임상 진입 목표

셀트리온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5에서 다중항체 기반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CT-P72'의 전임상 결과를 구두 발표했다고 28일 밝혔다.
CT-P72는 셀트리온과 미국 토토 바카라테크 기업 에이비프로(Abpro)가 공동 개발 중인 다중항체 면역항암제로, HER2를 발현하는 암세포와 T세포를 연결해 종양을 제거하는 T세포 인게이저(T-cell engager, TCE) 기반 치료제다. 셀트리온은 2022년 에이비프로와 HER2 양성 고형암 대상 이중항체 치료제 공동 개발 계약을 체결하고 전략적 협업을 이어오고 있다.
셀트리온에 따르면 CT-P72는 HER2와 면역세포 표면 단백질 CD3를 동시에 타깃해 T세포를 활성화하면서 암세포 공격을 유도하는 동시에 정상세포에 대한 비특이적 독성은 최소화하도록 설계됐다. 전임상 시험에서 CT-P72는 HER2 고발현 종양 모델에서 높은 종양 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정상세포에 대한 독성은 낮게 나타났다. 시험관 실험(in vitro)과 동물 모델(in vivo)에서도 일관된 항암 효과를 유지했으며, 영장류를 대상으로 한 독성시험에서는 비교 물질 대비 약 180배 우수한 안전성을 보였다.
CT-P72는 암세포와의 결합력(Avidity)을 조절하는 구조적 설계를 통해 정상세포 결합을 낮추고, 종양 선택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최적화됐다. 이를 통해 동일 기전 내 치료제 가운데 가장 높은 치료 지수를 확보했으며, '베스트 인 클래스(Best-in-Class)' 치료제 가능성도 확인했다는 설명이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CT-P72는 전임상 데이터를 통해 신약 개발 가능성을 입증했으며, 다중항체 치료제 분야에서 차세대 항암제 시장 공략을 본격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셀트리온은 지난 3월 항체약물접합체(ADC) 신약 CT-P70의 미국 FDA 1상 임상시험계획(IND) 승인을 시작으로, 연내 CT-P71과 CT-P72를 포함한 다중항체·ADC 신약의 IND 제출을 순차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회사는 2028년까지 ADC 분야 9건, 다중항체 분야 4건 등 총 13개 신약 후보물질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